
폼태그와 a태그는 각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태그입니다.Form태그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Name: Email: Submit위 데이터 입력을 받고 method 방식을 post방식으로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action에 지정된 url로 보낸다.) a태그웹페이지 간의 링크를 생성하거나 페이지 내부의 특정 위치로 이동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Visit Example WebsiteJump to Section 2 첫 번째 태그는 "https://www.example.com" 주소로 링크를 생성합니다.두 번째 태그는 현재 페이지 내부의 "section2" 위치로 이동하는 링크를 생성합니다.따라서, 폼 태그는 사용자 입력을 받아 서버로..

필터와 리스너는 모두 데이터 처리에 사용되는 개념을 말하는데, 각 목적과 작동 방식에 차이가 존재를 합니다.필터데이터 스트림에서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만을 선별해 출력하는 것이 목적이고, 데이터가 입력되면 필터가 정의된 조건을 검사하고, 조건에 부합하는 데이터만을 출력을 합니다.import java.util.stream.Stream;public class Filter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숫자 리스트 Stream numbers = Stream.of(1, 2, 3, 4, 5, 6, 7, 8, 9, 10); // 필터링: 짝수만 선별 Stream evenNumbers = nu..

이클립스 프로그램에서 JSP를 다룰 때 설정을 하는 web.xml 이나 스프링에서 Maven Project를 만들 때 만들어지는 pom.xml, servlet-context.xml, root-context.xml 등 xml이 뭘 뜻하는 지 문득 궁금해져서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 확장될 수 있는 표시 언어 xml은 미리 정의된 태그(,, 등)를 사용해서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과 달리 사용자가 직접 태그를 정의 할 수 있고, 데이터의 구조 및 의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을 합니다. 주로 데이터 교환이나, 라이브러리 파일을 설정하거나 웹 서비스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이 됩니다...

코드 작업을 하면서 결과물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Error 페이지가 보여지기도 하는데, 이때 출력이 되는 Error Number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궁금증을 가져 작성을 하게 되었습니다. *자주 보는 페이지만 작성. 계속 추가 예정 400번대 400번대의 코드는 클라이언트에 오류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403(금지됨) : 서버가 요청을 거부하고 있을 경우에 보여지는 페이지입니다. 사용자가 리소스에 대한 필요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 발생을 합니다. 404(찾을 수 없음) :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페이지를 찾을 수 없을 경우에 보여지는 페이지입니다. 보통은 잘못된 URL 경로를 주고 있을 경우에 발생을 하거나 삭제된 페이지에 접근할 경우에 발생을 합니다. 500번대 500번대의 코드는..

DAO(Data Access Object) DB나 다른 데이터 저장소에 접근해서 데이터를 조작한 뒤 반환을 하는 역할을 합니다. 주로 CRUD(입력,조회,수정,삭제)의 역할을 하는 메서드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DB에 접근을 위한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을 합니다. DB에 연결이 될 Connectio 까지 설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DTO(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 빈즈를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DTO는 Getter,Setter를 제외한 순수한 데이터만 가진 객체입니다. 주로 DB나 다른 외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교환을 위해 사용이 됩니다. 데이터를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이 되고, 데이터의 전송이나 변환을 담당합니다. 둘의 차이점 D..